매달 나가는 교통비가 부담스러우신 분들 많으시죠? 출근길, 퇴근길, 주말 나들이까지... 쌓이는 교통비가 꽤 부담스럽게 느껴질 텐데요.
오늘, 그 고민을 덜어줄 아주 스마트한 방법, 바로 기후동행카드 후불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!
충전의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,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까요?
기후동행카드 후불형은?
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든 정기권이에요. 한 달 동안 서울 지역 지하철과 버스는 물론,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죠.
기후동행카드는 충전해서 쓰는 선불형과, 신용/체크카드로 쓰는 후불형으로 나뉘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충전 스트레스 없는 후불형에 대해 알아 볼게요!
선불형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여기에서 확인하세요.
후불형 요금과 청년 할인 혜택
후불형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월 최대 한도가 있다는 거예요.
적게 쓴 달에는 쓴 만큼만 요금이 청구되고, 아무리 많이 쓴다고 해도 월 최대 한도 금액만 청구되니 교통비 폭탄 걱정이 없죠!
일반권 월 최대 한도
월별 일수 | 따릉이 미포함 | 따릉이 포함 |
---|---|---|
28일 | 58,000원 | 61,000원 |
29일 | 60,000원 | 63,000원 |
30일 | 62,000원 | 65,000원 |
31일 | 64,000원 | 67,000원 |
청년이라면 더 저렴하게!
만 19~39세 청년분들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. 하지만 혜택을 계속 받으려면 티머니 홈페이지에서 연령 인증이 꼭 필요하고, 6개월마다 재인증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!
월별 일수 | 따릉이 미포함 | 따릉이 포함 |
---|---|---|
28일 | 51,460원 | 54,460원 |
29일 | 53,230원 | 56,230원 |
30일 | 55,000원 | 58,000원 |
31일 | 56,770원 | 59,770원 |
청년 인증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.
후불형 신청 및 등록 방법
후불형을 사용하려면 두 가지 절차를 거쳐야 해요. 카드를 발급받고, 이 카드를 티머니에 등록하는 거죠.
1. 카드 신청 (발급)
후불형은 제휴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. 내가 평소에 쓰는 카드사가 있다면 해당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'기후동행카드'를 검색해 보세요.
- 제휴 카드사: 신한, KB국민, 롯데, 비씨(바로), NH농협, 삼성, 현대, 하나, 우리, IBK기업은행
2. 티머니에 등록 (필수!)
카드를 발급받았다고 끝이 아니에요! 월 최대 한도 혜택은 카드를 티머니에 등록해야만 시작되거든요. 이 과정을 놓치면 일반 교통카드처럼 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!
- '티머니 카드&페이' 접속: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으로 접속합니다.
- 로그인: 티머니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.
- 카드 등록: '카드 등록' 메뉴에서 후불형 카드를 선택합니다.
- 정보 입력: 발급받은 카드의 정보(카드번호 등)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등록 끝!
사용법과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등록까지 마쳤다면 이제 일반 교통카드처럼 편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! 몇 가지 주의할 점만 기억해 주세요.
- 사용 범위: 서울 지역 내 지하철, 서울시 면허의 버스(시내, 마을, 심야), 따릉이에서 이용할 수 있어요.
- 사용 불가: 신분당선, 서울 외 지역 지하철, 광역/공항버스는 아쉽지만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하차 태그는 필수: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내릴 때는 반드시 태그해 주세요. 태그를 2회 연속으로 빼먹으면 24시간 동안 정기권 기능이 정지되니 조심해야겠죠?
- 모바일 이용: 아이폰 사용자분들은 실물 카드를 가지고 다니셔야 해요. 안드로이드 휴대폰 사용자분들은 실물 카드를 '모바일티머니' 앱에 등록하면 모바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!
이제 충전 걱정은 그만!
매달 충전하느라 애쓰지 않아도 되는 똑똑한 후불형 기후동행카드!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참고해서 똑똑하게 교통비 절약하고, 더 가벼운 발걸음으로 하루를 시작해 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