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후동행카드 후불 신청·등록 방법과 청년할인 혜택 총정리

매달 나가는 교통비가 부담스러우신 분들 많으시죠? 출근길, 퇴근길, 주말 나들이까지... 쌓이는 교통비가 꽤 부담스럽게 느껴질 텐데요. 

오늘, 그 고민을 덜어줄 아주 스마트한 방법, 바로 기후동행카드 후불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! 

충전의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,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까요?

기후동행카드 후불형은?

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든 정기권이에요. 한 달 동안 서울 지역 지하철과 버스는 물론,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죠.

기후동행카드는 충전해서 쓰는 선불형과, 신용/체크카드로 쓰는 후불형으로 나뉘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충전 스트레스 없는 후불형에 대해 알아 볼게요!

선불형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여기에서 확인하세요.

후불형 요금과 청년 할인 혜택

후불형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월 최대 한도가 있다는 거예요. 

적게 쓴 달에는 쓴 만큼만 요금이 청구되고, 아무리 많이 쓴다고 해도 월 최대 한도 금액만 청구되니 교통비 폭탄 걱정이 없죠!

일반권 월 최대 한도

월별 일수 따릉이 미포함 따릉이 포함
28일 58,000원 61,000원
29일 60,000원 63,000원
30일 62,000원 65,000원
31일 64,000원 67,000원

청년이라면 더 저렴하게!

만 19~39세 청년분들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. 하지만 혜택을 계속 받으려면 티머니 홈페이지에서 연령 인증이 꼭 필요하고, 6개월마다 재인증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!

월별 일수 따릉이 미포함 따릉이 포함
28일 51,460원 54,460원
29일 53,230원 56,230원
30일 55,000원 58,000원
31일 56,770원 59,770원
청년 인증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.

후불형 신청 및 등록 방법

후불형을 사용하려면 두 가지 절차를 거쳐야 해요. 카드를 발급받고, 이 카드를 티머니에 등록하는 거죠.

1. 카드 신청 (발급)

후불형은 제휴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. 내가 평소에 쓰는 카드사가 있다면 해당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'기후동행카드'를 검색해 보세요.

  • 제휴 카드사: 신한, KB국민, 롯데, 비씨(바로), NH농협, 삼성, 현대, 하나, 우리, IBK기업은행
기후동행카드 후불 신청·등록 방법

2. 티머니에 등록 (필수!)

카드를 발급받았다고 끝이 아니에요! 월 최대 한도 혜택은 카드를 티머니에 등록해야만 시작되거든요. 이 과정을 놓치면 일반 교통카드처럼 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!

기후동행카드 후불 신청·등록

  1. '티머니 카드&페이' 접속: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으로 접속합니다.
  2. 로그인: 티머니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.
  3. 카드 등록: '카드 등록' 메뉴에서 후불형 카드를 선택합니다.
  4. 정보 입력: 발급받은 카드의 정보(카드번호 등)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등록 끝!

사용법과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
등록까지 마쳤다면 이제 일반 교통카드처럼 편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! 몇 가지 주의할 점만 기억해 주세요.

  • 사용 범위: 서울 지역 내 지하철, 서울시 면허의 버스(시내, 마을, 심야), 따릉이에서 이용할 수 있어요.
  • 사용 불가: 신분당선, 서울 외 지역 지하철, 광역/공항버스는 아쉽지만 사용할 수 없습니다.
  • 하차 태그는 필수: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내릴 때는 반드시 태그해 주세요. 태그를 2회 연속으로 빼먹으면 24시간 동안 정기권 기능이 정지되니 조심해야겠죠?
  • 모바일 이용: 아이폰 사용자분들은 실물 카드를 가지고 다니셔야 해요. 안드로이드 휴대폰 사용자분들은 실물 카드를 '모바일티머니' 앱에 등록하면 모바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!

이제 충전 걱정은 그만!

매달 충전하느라 애쓰지 않아도 되는 똑똑한 후불형 기후동행카드!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참고해서 똑똑하게 교통비 절약하고, 더 가벼운 발걸음으로 하루를 시작해 보세요!
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